주식 22

[자이언트스텝] 메타버스 관련 대장주, 사업 분석

요즘 메타버스 테마가 아주 핫합니다. 불과 1년 전에 비해 10배가량 오른 모습인데요, 이 메타버스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메타버스 관련주 중 대장주라고 할 수 있는 자이언트스텝의 사업 내용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기업 개요 (2021년 11월 18일 종가 기준) 주가 159,900원 시가총액 1조 5440억원 PER - PBR 52.29배 자이언트스텝은 적자기업입니다. 코스닥의 경우 4년 연속 영업손실을 기록하면 관리종목에 들어가며, 5년째에도 영업손실을 기록하면 상장폐지 심사에 들어가게 됩니다. 당사는 지난 3년 간 영업손실을 냈기 때문에 올해 또 영업손실을 낸다면 관리종목에 들어가게 됩니다. 내년에는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예상되긴 하나, 혹시 영업손실이 난다면 상장폐지되니 주의할 필요는 있겠습..

[포스코 ICT] 스마트팩토리 대장주, 사업 분석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IT 기술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구조적인 저출산 문제로 인해 노동력은 꾸준히 감소할 예정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AI 기술이 발전하고, 제조업 분야에 이를 적용하는 사례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른바 스마트 팩토리라는 것인데요, 오늘은 스마트 팩토리와 더불어 이를 주 사업으로 영위하는 포스코 ICT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기업 개요 (2021년 11월 15일 종가 기준) 주가 6,570원 시가총액 9,989억원 PER - PBR 2.9배 특이한 점은 당기순손실이 나서 PER이 없다는 점입니다. 과거부터 보면 매출은 9000억 원 정도에서 정체되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신통치 않습니다. 2018년에도 당기순손실이 났는데, 올해(2021년)도 적자 전환했습니..

포스코, CCU 기술 실증사업 착수

포스코는 지난 11일 철강업계 최초로 CCU(Carbon Capture Utilization) 기술의 실증사업에 돌입에 대해 미팅을 진행했고, 이에 대해 12일 발표하였습니다. CCU 기술은 포스코가 2010년부터 포항산업과학연구원과 함께 철강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재활용하기 위해 연구한 기술로서, 이번에 철강업계 최초로 CCU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CCU 기술이란 CCU 기술은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활용하는 기술입니다. 지구온난화 문제의 심각성이 점점 커지며, 파리 협정에서 온도 상승 폭을 1.5℃ 이하로 제한하고, 각국은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를 세우고 이를 이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장 친환경 에너지로 100% 전환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석탄, 석유..

[아세아시멘트] 사업 분석

기업 개요 (2021년 11월 11일 종가 기준) 주가 126,000원 시가총액 4,909억원 PER 8.13배 PBR 0.58배 업종 및 지배구조 아세아시멘트는 모회사로 아세아(주)가 있으며, 시멘트, 레미콘의 제조 판매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아세아 계열회사 총 19개사 중 아세아시멘트의 연결재무제표에 포함된 종속회사는 8개사이며, 이들을 통해 시멘트 사업(한라시멘트, 아세아산업개발 등), 창업투자업(우신벤처투자), 비철금속제련업, 영농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1년 상반기 기준으로 시멘트 사업의 당기순이익은 55억, 기타사업의 당기순이익은 4억입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레미콘을 포함하여 시멘트 사업에 대해서만 다루겠습니다. 시멘트 업종은 후에 자세히 다루겠지만 소수 기업이 과점한 상태입니다..

[우리금융지주] 사업 분석

기업 개요 (2021년 11월 8일 종가 기준) 주가 13,350원 시가총액 9조 7196억원 PER 4.67배 PBR 0.39배 업종 및 지배구조 우리금융지주는 금융지주회사법 및 관련 법령 등에 근거를 갖는 금융지주회사입니다. 우리금융그룹은 (2021년 6월 반기보고서 기준) 우리금융지주를 모회사로 두고 12개의 자회사와 15개의 손자회사를 포함하여 (모회사 포함) 총 28개의 계열사를 갖고 있습니다. 이중 상장회사는 우리금융지주, 우리종금, 인도네시아 우리소다라은행 총 3개 회사입니다. (우리금융캐피탈은 올해 8월 완전자회사 편입과 함께 상장 폐지되었습니다.) 우리금융지주는 주요 종속회사를 통해 다양한 산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아래 사업보고서 분석에서 다루겠지만 위 사업들 중 은행업이 가장 중요합니..

철강사의 탄소중립과 고철가격 상승

강철(steel)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국내 가장 큰 철강사이며 세계 조강 생산량 6위인 포스코(POSCO)에서 만든 자료를 가져왔습니다. (https://newsroom.posco.com/kr/) 강철의 주 원료는 철입니다. 자연에 있는 철광석에는 철(Fe)과 산소(O)가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환원반응을 통해 산소를 제거하는데 보통은 다음의 화학반응식을 이용합니다. 반응물은 철광석과 일산화탄소이며 위 반응은 고로(용광로)에서 이루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위의 과정을 통해 철강을 생산하게 되면, 부산물로 이산화탄소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철강업은 온실가스 배출의 주원인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포스코 등 국내 철강사들은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수소환원제철의 형태로 ..

[POSCO/포스코] 사업내용 분석

기업 개요 (2021년 11월 7일 기준) 주가 285,000원 시가총액 24조 8482억원 PER 6.44배 PBR 0.46배 지배구조 포스코는 기본적으로 국내 34개, 해외 132개의 회사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두고 있습니다. 이 중 상장되어있는 주요 회사들의 보유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유지분, 해당 기업 시가총액) 포스코강판 (56.87%, 3402억원) 포스코인터내셔널 (62.91%, 2조 5415억원) 포스코 ICT (65.38%, 1조 110억원) 포스코케미칼 (59.72%, 11조 5805억원) 포스코엠텍 (48.85%, 3377억원) 지분율에 시가총액을 곱해서 다 더하면 9조 5342억원입니다. POSCO의 시가총액이 약 25조인데 이 중 40%는 자회사의 지분가치로 설명이 됩니다. ..

[회계원리] 6. 재고자산

Intro 기업의 자산은 유동성에 따라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나뉘고, 유동자산은 다시 유동성이 더 좋은 당좌자산과 재고자산으로 나뉩니다. 그중 저희가 오늘 볼 것은 재고자산입니다. 자산 유동자산 (1년 이내 현금화 가능) 비유동자산 당좌자산 재고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 재고자산의 의의와 취득원가 1. 재고자산의 의의와 종류 재고자산은 기업이 정상적인 영업활동 중에 판매할 목적으로 보유하는 상품과 제품 등의 자산입니다. 같은 종류의 자산이더라도 회사가 어떤 사업을 영위하느냐에 따라 재고자산이 될 수도, 유형자산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선박을 생각해 봅시다. 해운업을 영위하는 HMM, 팬오션 등의 해운사는 배를 판매할 목적으로 가진 것이 아니고, 영업활동에 사용하기 위해 보..

주식/회계원리 2021.06.16

[회계원리] 5. 현금, 수취채권과 지급채무

Intro 기업의 자산을 보면 여러 계정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중 현금및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등에 대해 살펴보고 매입채무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배우겠습니다. 특히나 매출채권에서의 대손충당금 개념은 이 단원에서 가장 중요하므로 꼭 익히시길 바랍니다. 현금및현금성자산 1. 현금및현금성자산의 구성 현금: 지폐나 동전 등의 통화, 자기앞수표, 타인이 발행한 당좌 수표 등의 통화대용증권, 당좌예금이나 보통예금과 같은 요구불예금 현금성자산: 만기일이 3개월 이내에 도래하는 채권이나 정기예금, 양도성 예금증서(CD), 3개월 이내에 환매조건을 가진 환매조건부채권(RP), 초단기 금융상품(MMF) 이 중 당좌예금은 수표를 발행하여 예금을 인출할 수 있는 특수한 형태의 예금입니다. 따라서 통화에 비해 도난..

주식/회계원리 2021.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