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개요
(2021년 11월 7일 기준)
주가 | 285,000원 | 시가총액 | 24조 8482억원 |
PER | 6.44배 | PBR | 0.46배 |
지배구조
포스코는 기본적으로 국내 34개, 해외 132개의 회사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두고 있습니다. 이 중 상장되어있는 주요 회사들의 보유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유지분, 해당 기업 시가총액)
포스코강판 (56.87%, 3402억원)
포스코인터내셔널 (62.91%, 2조 5415억원)
포스코 ICT (65.38%, 1조 110억원)
포스코케미칼 (59.72%, 11조 5805억원)
포스코엠텍 (48.85%, 3377억원)
지분율에 시가총액을 곱해서 다 더하면 9조 5342억원입니다. POSCO의 시가총액이 약 25조인데 이 중 40%는 자회사의 지분가치로 설명이 됩니다.
상장된 위 5개 회사를 제외하고도 포스코라는 기업집단에 속하는 27개의 계열사를 갖고 있습니다.
신용등급
국내 기관인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NICE신용평가 등에서는 AA+등급을 받았으며, 해외 기관인 S&P로부터는 BBB+, Moody's로부터는 Baa1등급을 받았습니다. 철강업의 특성상 경기침체와 시장변화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배당
포스코는 향후 3년간 (2020~2022) 연결배당성향 30% 수준을 목표로 주주환원을 계획하고 있다고 합니다. 당사는 2016년 2분기부터 분기배당을 실시하고 있고, 최근 3년간 각 분기별 배당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합계 | |
2018 | 1500원 | 1500원 | 2000원 | 5000원 | 10000원 |
2019 | 2000원 | 2000원 | 2000원 | 4000원 | 10000원 |
2020 | 1500원 | 500원 | 1500원 | 4500원 | 8000원 |
2021 | 3000원 | 4000원 | 5000원 | - | 12000원+? |
2021년 당기순이익이 매우 잘 나왔기 때문에 배당도 많이 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영업이익률, 순이익률이 올해 굉장히 좋았습니다. 왜 그랬는지는 현금흐름표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연결 현금배당성향은 2018년 47.3%에서 꾸준히 하락하여 2020년 38.7%였습니다. 올해 당기순이익이 얼마나 나올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컨센서스는 6조 7430억원이며, 4분기 5000원 배당을 한다면, 2021년 현금배당성향은 20%가 조금 넘습니다.
사업보고서 분석
포스코 및 종속회사들은 크게 4개의 부문(철강, 무역, 건설, 기타)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각 부문별 자산, 매출, 영업이익의 (대략적인) 비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철강 | 무역 | 건설 | 기타 | |
자산 | 70% | 10% | 10% | 10% |
매출 | 50% | 35% | 10% | 5% |
영업이익 | 57% | 16% | 16% | 10% |
철강 부문이 가장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영업이익 또한 가장 큽니다. 하지만 포스코는 미래 성장산업인 소재, 에너지 사업 등에 투자를 늘리며 철강업 의존도를 낮추고 있습니다. 과거 2018년 11월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100대 개혁과제에서 포스코의 기본 조직을 철강, 글로벌인프라, 신성장 3개 부문으로 나누고 2030년까지 철강을 제외한 나머지 분야의 매출 비중을 60%로 끌어올리겠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철강업이 주요 사업인 것은 맞지만 다른 사업 부문의 중요성도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I. 철강
포스코는 열연, 냉연, 스테인리스 등 다양한 종류의 철강재(steel)를 생산합니다. 산업별, 제품별 포스코에서 생산하는 각종 제품에 대한 설명이 포스코 홈페이지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참조하시면 좋겠습니다.
http://product.posco.com/homepage/product/kor/jsp/s91m0000001i.jsp
POSCO PRODUCTS | 포스코 제품
포스코 철강홍보사이트. 산업, 제품, 메가트렌드, 이용기술, 미디어, 고객지원 등 안내
product.posco.com
산업
-철강산업은 자동차, 조선, 가전, 건설 등 철강 수요 산업에 기초 원자재를 공급하는 산업입니다. 세계적으로 (조강 기준) 철강 생산량은 2000년 이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며, 2020년 기준 POSCO는 생산량 4058만 톤으로 6위에 기록되었습니다. 전체 생산량의 약 2%를 차지합니다. (www.worldsteel.org)
-철강업은 막대한 초기투자를 필요로 하는 장치산업이며, 동북아시아 지역 내에서는 한중일 3국간 물류비용의 차이가 거의 없어 개방된 시장입니다.
-철강 제조 원료의 경우 우리나라는 철광석과 원료탄 등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당사(POSCO)의 경우 내수와 수출의 비중이 45:55 정도이며, 주요 수출국은 중국, 동남아시아, 일본 등입니다.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주요 품목은 열연, 냉연, 스테인리스, 기타로 나눌 수 있으며 2021년 상반기 기준 각각의 매출액 비율은 18%, 32%, 20%, 30%입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철광석의 가격이 작년 말부터 급등하였고, 동시에 철강 수요 산업이 회복세에 진입하며 철강 가격 역시 큰 폭으로 상승하였습니다.
각 제품별 생산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평균 가동률은 거의 100%에 가깝습니다.
II. 무역
주요 회사는 포스코 인터내셔널입니다. 포스코 인터내셔널은 대표적인 종합상사로 무역, 에너지 개발, 자원 개발 등의 사업을 진행하며 영업이익률은 매우 낮은 편(2% 내외)입니다.
최근 천연가스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미얀마 가스전, 오만 LNG 및 동해-2 가스전의 수익이 자원개발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경기 변동에 따른 원자재 가격 변동이 회사의 수익에 영향을 미칩니다.
2020년 수출실적은 한국 전체 실적 대비 1% 정도입니다.
III. 건설
포스코건설을 포함하여 국내 5개사와 해외 20개사 총 25개사의 연결대상 종속회사가 있습니다.
분야별로 산업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토목: 최대 수요처인 정부의 공공발주 사업이 감소하고 있었으나, 2022년 이후 민간부문의 건설경기가 바닥을 다지고,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점진적인 회복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
주택: 정부의 주택시장 활성화 정책에 따라 2015년까지 호조, 정책적 요인으로 2016년 이후 지속적인 조정 중, 국민소득 향상 및 삶의 질적 수준 향상 욕구로 인해 고급주택에 대한 수요, 또한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 심화로 인한 수도권 주택 수요, 1인 가구 증가로 소규모 주택 및 오피스텔에 대한 수요는 확대될 것
철강 플랜트: 국내, 대만, 인도 등을 중심으로 신규 수요가 일부 존재하나 발주 물량 감소로 인한 경쟁 지속
발전 플랜트: 지속적으로 수요 발생
건설업은 산업의 특성상 진입이 쉽고 완전경쟁 시장입니다. 또한 구매자의 다양한 주문에 의해 생산해야 하는 독특한 생산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여타 산업에 비해 자동화, 표준화가 어려워 인력자원의 비중이 큰 산업입니다.
건설부문에서 절반 이상의 매출은 국내 건축공사에서 나옵니다. 따라서 주택 경기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IV. 기타
포스코에너지: 발전소 및 발전시설 운영
포스코 ICT: 정보통신관련 서비스엔지니어링
포스코케미칼: 내화물 제조, 로정비, 로시공 작업, 생석회 제조 판매사업 및 2차전지 소재사업
포스코엠텍: 철강제품 포장 및 철강부원료 생산/판매 사업
위 회사들을 포함하여 국내 25개사 해외 17개사 총 42개 회사를 기타로 분류하였습니다.
특히나 포스코케미칼은 에너지소재사업을 영위하며, 2차전지 시장 성장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전기차 배터리업체를 대상으로 이차전지 주요 소재를 납품하여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사실 기타 부문에 내용이 굉장히 많지만... 하나의 글에 담기에는 너무 양이 방대해 생략합니다.)
정리
포스코는 철강업에서 50% 이상의 매출을 가져가며, 많은 자회사를 통해 무역, 건설, 에너지, 소재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ESG 경영이 화두에 오르고 특히나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포스코 역시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였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이른바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완성시키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https://newsroom.posco.com/kr/%EC%88%98%EC%86%8C%ED%99%98%EC%9B%90%EC%A0%9C%EC%B2%A0/
미래 철강은 수소환원제철로?!
Posco Newsroom
newsroom.posco.com
포스코의 친환경을 향한 행보와, 철강업에만 국한되지 않고 에너지, 소재 등 미래 성장산업으로 나아가는 모습에 집중하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 기업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이언트스텝] 메타버스 관련 대장주, 사업 분석 (0) | 2021.11.19 |
---|---|
[포스코 ICT] 스마트팩토리 대장주, 사업 분석 (0) | 2021.11.16 |
[아세아시멘트] 사업 분석 (1) | 2021.11.11 |
[우리금융지주] 사업 분석 (0) | 2021.11.09 |
[나이스정보통신] 2021년 턴어라운드 가능할까? (4) | 2021.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