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RIM인가?
기업의 가치평가 방법엔 크게 상대가치평가 절대가치평가 방법이 있습니다.
그중 RIM은 기업의 절대가치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RIM을 처음 접하셨다면 가치평가 방법의 종류를 간략하게 정리해둔 글이 있습니다.
[한 눈에 보는] 기업 가치평가 방법의 종류
서론 가치투자를 위해서는 기업의 가치를 분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PER, EV/EBITDA 등이 그 방법에 속하죠. 우리가 스스로 기업의 적정주가를 계산하고 투자하려면 각각의
working-rich.tistory.com
전체적인 개요와 함께 RIM이 어디에 속하는지 알면 이 글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겠죠?)
위 글에도 나와있지만, PER이나 EV/EBITDA와 같은 상대가치평가 방법은 시장의 상황을 함께 반영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주가 흐름을 예상하는 데에는 불완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교대상이 없을 경우 적정 PER multiple을 구할 수도 없죠.
따라서 우리는 절대가치평가 방법도 알아야 합니다.
절대가치평가 방법에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가장 실용성이 높고 쉬운 RI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IM의 정의
먼저 우리가 구하려는 기업의 내재가치가 뭘까요?
워런 버핏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은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 가치 합으로 내재가치를 정의합니다.
즉, 미래에 기업이 벌어들일 수익을 적절한 할인율을 곱해 더하는 것이죠.
RIM에서는 한 가지 생각을 추가합니다.
바로 내가 다른 곳에 투자를 했다면 얻었을 수익에 대한 기회비용이죠.
이걸 조합하면 이렇게 됩니다.
$V_0 = B_0 + \sum_{t=1}^{ \infty} \frac{RI_t}{(1+r_e)^t}$
($V_0$: 기업가치, $B_0$: 자기 자본, $RI_t$: $t$년차 초과이익, $r_e$: 할인율)
초과이익 RI를 매년 따로따로 추정하지 않고 ROE를 일괄적으로 적용하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
$V_0 = B_0 + \frac{B_0 \times (ROE - r_e)}{r_e}$
이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되는데요,
$V_0 = \frac{B_0 \times ROE}{r_e}$
필요한 건 자기 자본, ROE, 할인율입니다.
자기 자본, ROE, 할인율?
자기 자본과 ROE는 재무제표를 보면 구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증권 종목분석에 가셔서
자본총계(지배)와 ROE를 찾으시면 됩니다.
여기서 자본총계는 지배와 비지배로 나뉘는데요,
비지배 부분은 자회사의 자본에서 모회사가 지분으로 차지하고 있는 비율을 뺀 나머지입니다.
이는 주주의 몫이 아니므로 지배 자본총계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할인율은 어떻게 구할까요?
저의 경우는 자신이 주식시장에서 기대하는 요구수익률을 사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예를 들어 '난 주식시장에서 연 10%의 수익을 낼 거야'라고 한다면,
요구수익률 또는 할인율은 10%가 되겠죠.
또는 회사채 수익률을 기준으로 하기도 합니다.
할인율의 원래 개념은 무위험 수익률 + 리스크 프리미엄입니다.
따라서 나라가 망하지 않는 이상 안전한 국채 수익률을 무위험 수익률로 하고,
여기에 리스크 프리미엄을 약간 얹어도 됩니다.
회사채 등급이 낮아질수록 리스크 프리미엄이 붙으니 이자율도 올라가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할인율에 대한 컨센서스는 6 ~ 7%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를 감안하셔서 할인율을 정하시면 되겠습니다.
마무리
오늘은 RIM 모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RIM 모형은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 가치 합이라는 개념을 잘 녹여낸 이론입니다.
또한 동종업계의 상장된 기업이 없을 경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모형이 마술봉처럼 내재가치를 정확히 알려주는 것은 아닙니다.
미래 산업의 변화에 따라 기업의 성장성이 어떻게 바뀔 것인지,
채무 면제나 부동산 매각 등으로 당기순이익이 일시적으로 높은 것은 아닌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실제로 RIM을 적용해 기업 가치를 구해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 > 1분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E 분석] ROE가 높으면 다 똑같을까? (0) | 2021.02.08 |
---|---|
[1분만에 이해하는] 파생금융상품의 정의와 목적, 위험성 (0) | 2021.02.07 |
[기업 가치 구하기] RIM 실전 적용 (feat. 에이플러스에셋) (0) | 2021.01.31 |
[한 눈에 보는] 기업 가치평가 방법의 종류 (0) | 2021.01.29 |
트레이더와 투자자의 구분 (0) | 2021.01.28 |